[현장연결] 중대본 "목욕장 종사자 전수검사…전자출입명부 의무 도입"<br /><br />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]<br /><br />3월 21일 일요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환자 437명이며 해외 유입 환자는 19명입니다.<br /><br />어제 세 분의 환자가 돌아가셨습니다.<br /><br />돌아가신 환자분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분들에게도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.<br /><br />3월 14일부터 3월 20일까지 한 주간의 환자 발생과 유행 상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일주간 하루 평균 국내 환자 수는 416명입니다.<br /><br />이는 직전 한 주간의 428명과 유사한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전국 감염재생산지수는 지난주 1.04로 그 전주의 1.07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지만 여전히 1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역적으로 하루 평균 수도권이 302명, 비수도권이 114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습니다.<br /><br />비수도권 중 부산, 경남권은 하루 평균 53명의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울산과 진주의 목욕장, 거제의 유흥시설, 부산의 종합병원 등 집단감염이 주요 원인입니다.<br /><br />감염양상에 있어서는 가족, 지인 등의 소규모 접촉과 지역의 집단감염이 여전히 주요한 감염 경로입니다.<br /><br />병원과 종교시설의 집단감염은 줄어들고 있으나 직장과 다중이용시설의 감염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중이용시설 중에서는 주점과 음식점을 비롯해 실내체육시설, 노래방, 목욕장업, 학원 등의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종합하자면 1월 3주차부터 지난주까지 9주째 매일 300명에서 400명대의 많은 혼자가 발생하고 있는 정체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역적으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, 감염경로에 있어서는 직장과 다중이용시설 등 일상생활 속에서의 감염을 통해 유행이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생활 속에서의 감염 위험이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현재의 아슬아슬한 정체 국면이 확산세로 나타나고 있지 않고 감소세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들께서는 항상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감염에 취약한 환경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목욕장업에 대한 방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0월부터 3월 15일까지 전국 43개 목욕장에서 1,200여 명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였습니다.<br /><br />집단감염이 발생한 목욕장업은 지역 주민들이 정기회원으로 등록하여 자주 목욕장을 찾고 오랜 시간 머무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전반적으로 환기가 잘되지 않고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공용물품을 사용하거나 취식을 하는 점도 위험 요인으로 판단됩니다.<br /><br />감기와 몸살 등 증상이 있었음에도 목욕장을 이용하여 감염이 확산된 사례도 다수 존재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이러한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고자 목욕장업에 대한 방역대책을 강화하여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.<br /><br />먼저 내일부터 전국의 목욕장에서 일하는 근무하는 세신사, 이발사, 매점 운영자 등 종사자 전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추진합니다.<br /><br />이는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집단감염을 조기에 찾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